안녕하세요. 지이알이코리아입니다.
칼바람에 몸이 움츠러드는 출퇴근 길, 영하의 기온에 한겨울을 체감하고 있는 요즘입니다.
지난 시간을 돌아보면 힘든 기억도 있었지만, 좋은 사람들과 함께여서 참 행복한 한 해를 보냈다는 생각이 드는데요.
사회적 거리 두기의 영향으로 몇 해째 미루고 미뤘던 크고 작은 송년회 모임이 여기저기서 날아들어 더 바쁜 12월을 보내고 있는 거 같습니다.
보름 남짓 남은 12월, 몸은 춥지만 마음은 따뜻한 일이 가득하셨으면 좋겠습니다.
|
|
|
✔️ 오늘의 체크포인트
✔ 외식 물가를 구성하는 품목들이 줄줄이 올랐어요
✔ 새해부터 식품에 표기되는 '유통기한'이 '소비기한' 으로 바뀌어요 |
|
|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73 지하철역: 1,2호선 시청역 도보 2분 연면적: 40,001.80㎡ (12,100.50평)
기준층 전용면적: 760.40㎡ (230.02평)
규모: B6/26F
전용률: 47.71%
준공년도: 1997년(2018년 부분 리모델링)
엘리베이터: 7대(승객용 6대, 비상용 1대)
주차대수: 337대
무료주차: 1대/임대면적 70평 |
|
|
■ 세종대로 대로변에 위치하고 있어 교통접근성 및 가시성이 뛰어남
■ 2.7m의 높은 층고와 멋진 도심 조망권
■ 중간 기둥이 없는 무주설계로 공간효율성 뛰어남
■ 주변 서울시청, 특급호텔, 대기업, 백화점 등이 위치하며 풍부한 비즈니스 인프라 보유
■ 숭례문, 덕수궁, 서울시립미술관, 서울광장 등 문화관광시설 다수 위치
|
|
|
로봇 111대와 공존하는 '이 빌딩'…사우디 홀렸다
-사우디 홀린 네이버 신사옥 '1784'
-글로벌 빅테크 도약 전진기지 역할
오피스빌딩 거래 '올스톱'…상업·업무용도 '빙하기'
-오피스 공실률 역대 최저 수준… 콧대 높아진 매도자
-3분기까지 거래액 전년比 62% 줄고 거래량도 42% '뚝'
"MS·구글도 군침"…착공 전부터 입주기업 줄 세운 韓의 '이것'
-착공도 안했는데 "우리 먼저 입주할게요"...수도권 데이터센터 입주경쟁 불붙었다
-뭉칫돈 몰리는 데이터센터…국내외 '큰손' 투자↑
'팝업 성지' 떠오른 성수동…식품업체 몰리는 까닭은
-"성수동, 강남보다 저렴한 임대료에 MZ세대 밀집도 높아 매력적"
-식품업계, 브랜드 홍보와 잠재적 고객 확보 위해 성수동 팝업 적극 활용
부동산PF 악화 우려…금융당국 기초자산까지 들여다본다
-단기자금시장 경계감 지속에 사업장 현황 모니터링
-전문가 "정부 대책에도 자금조달 어려움 장기화 가능성"
“너무 비쌌나” 둔촌주공 특공 청약 경쟁률 3.28대 1 마무리
-49㎡도 옵션·확장 땐 9억원 넘길 듯
-일반분양 접수는 15일까지
“위기는 기회?”…‘영끌→손절→줍줍’ 급급매 갭투자 여전
-서울 하반기 308건 아파트 갭투자 등록
-1억~20억원대 매매-전세 차이 다양, 갭투자 최다 지역 노원 송파
첫 삽도 못뜨고 "역세권, 강남 땅 팝니다"…자금난에 줄줄이 '백기'
-역삼·반포동 역세권 부지도 자금난에 매물로
-땅 거래 1년 새 60% 이상 급감
재건축 안전진단 문턱 대폭 낮춘다…구조안전성 비중 50%→30%로
-주거환경 15%→30%, 설비노후도 25%→30% 상향…생활환경 나빠도 재건축 허용
-'조건부 재건축' 축소, 적정성 검토도 원칙적 배제…재건축 활성화
보금자리론, 내년 확대…9억이하 주택에 최대 5억
-내년 보금자리론 한시적 확대 운영
-일반안심전환대출·적격대출, 보금자리론에 통합…1년 한시운영
2040년 서울, 보물지도가 펼쳐진다
-지역 중심 중에선 마곡, 상암 주목
-35층 룰 폐지…용도지역 전면 개편도
'20년째 공터' 용인 성복동 학교 부지, 시민 공간으로 활용
-시, 도시계획시설 변경 결정…공공청사·문화시설 등 건립
-수지구 성복동 177번지 1만627㎡
인터파크 삼성동 빌딩 매각 철회
-화이자타워·363강남타워·KDB생명타워 수익증권·수서 로즈데일 매각 철회키도
-IFC는 매각 불발..아이콘역삼은 눈높이 맞추기 어려워
애그테크 스타트업 ‘엔씽’, 코스닥 상장 추진
-모듈형 스마트팜 운영 업체
-삼성벤처·KT&G·키움인베 등 투자 받아
캐비아, 110억 시리즈 B투자…"150여개 IP 확보"
-GS리테일·다날·우리은행 등
-RMR 간편식 사업 확장 목표
|
|
|
코스피 2,376.62 ▲ 3.60 (+0.15%)
코스닥 715.37 ▲ 0.15 (+0.02%)
USD 환율 1,306.40 ▼ 1.60 (-0.12%)
* 12월 13일 PM12 장중
나의 2022년은 어땠을까? 데이터로 정리하는 한 해
|
|
|
네이버 연말결산?? 이건 또 뭐지??
네이버에서 나의 2022년 한 해를 연말결산 해준다고 하는데요.
네이버에서 올해 가장 많이 검색한 키워드와 다양한 서비스 데이터를 담은
‘2022 연말결산’ 페이지를 공개했어요.
나도 모르는 생활패턴을 알려준다는 점에서 흥미롭게 느껴집니다
결산대상은 네이버쇼핑, 네이버포인트적립, 네이버뉴스, 네이버지도,
그리고 찜하기 관련해서이고요
나와 대한민국평균을 비교 해 볼수 있습니다.
▲사용자 서비스 활동 데이터를 요약한 ‘2022 한 장 정리’
▲인기 검색어를 살펴볼 수 있는 ‘100만이 찾은 키워드’
▲네이버페이 포인트 사용 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 ‘2022 포인트 연말결산’
▲서비스별 연말 이벤트 소식을 한 데 모은 ‘모아보는 연말북’
▼ 2022년 네이버 연말결산 바로가기 |
|
|
■ MY 데이터로 요약하는 2022
2022 한 장 정리에선 쇼핑, 포인트, 뉴스, 플레이스 등 올 한 해 사용자가 네이버에서 활동한 데이터를 요약해 선보입니다.
사용자는 쇼핑을 가장 많이 한 카테고리, 주간 평균 뉴스 소비량, 네이버 지도에 저장한 맛집/카페 등 자신의 데이터를 살펴보고, 국민 평균 데이터와 비교해 볼 수도 있어요.
올 해도 사람들의 쇼핑 인기 카테고리는 마스크네요. 여전히 우리 생활 필수품 중 하나라는 사실이 조금 슬프기는 합니다.
|
|
|
올해 네이버 모바일에서 이용자들이 가장 많이 검색한 드라마는 단연 '우영우' 였습니다.
많이 검색한 음식은 '마라탕', 해외여행 국가는 '일본', 전시회는 'MMCA(국립현대미술관) 이건희 컬렉션', 시험은 '토익'이었습니다. 가장 인기있었던 MBTI 유형은 'ISFP(호기심 많은 예술가)'로 나타났습니다.
올해 이용자들은 매주 평균 34분간 26건의 기사를 네이버 뉴스 서비스를 통해 읽은 것으로 집계되었어요.
네이버쇼핑의 인기 카테고리 1∼3등은 마스크, 주방 잡화, 영양제 순으로 소비자들의 주목도를 보여줬습니다.
네이버 지도에서 올해 '찜'한 식당·카페는 1인 평균 38곳이었고, 가장 많이 찜한 지역(동 기준)은 서울 강남구 신사동이었습니다.
|
|
|
■ 100만이 찾은 키워드
100만이 찾은 키워드에선 지난해와 비교했을 때 검색량이 100만 이상 증가한 키워드를 바탕으로 출제되는 10개의 퀴즈를 풀며 올해 검색 트렌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올해에는 엔데믹 국면을 맞아 프로야구 개막, 마스크 해제, 항공권 예약 등 야외 활동에 대한 검색량이 증가했으며 MBTI, 퍼스널 컬러, 주간일기 챌린지 등 MZ 세대 트렌드에 대한 키워드에 대한 검색량도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퀴즈풀기에도 도전해 봤는 90점!!
제 부캐가 혹시 검색좌??
|
|
|
■ 2022 포인트 연말결산
포인트 연말결산에서는 올해 적립 받은 네이버페이 포인트부터 사용처까지 자신의 쇼핑 습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 포인트의 주 사용처는 식품 쪽이 많네요 나의 쇼핑루틴이 가장 흥미로웠어요.
희야는 2022년 한 해, 목요일에, 시간은 오후 10시 지름신 발동 ^^
|
|
|
■ 모아보는 연말 북
사용자들이 보다 풍성한 연말을 보낼 수 있도록 다양한 이벤트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모아보는 연말 북에서는 연말맞이 볼거리, 혜택 빵빵 이벤트 모두 모아 뒀어요.
크림, 나우, 네이버 인플루언서, 프리미엄 콘텐츠, 쥬니버스쿨, 네이버플러스 멤버십 등 네이버 서비스 내 볼거리와 이벤트 소식들을 모아보는 연말북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
📰 GERE KOREA 뉴스레터는 어땠나요?
더 좋은 뉴스레터를 만들 수 있도록 의견을 보내주세요! |
|
|
오늘의 뉴스레터는 여기까지
감사는 마음의 기억이다. – J. B. 마시외 –
우리 다음주에도 건강히 또 만나요!
|
|
|
지이알이코리아 hee@gerekorea.com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 52길 6, 4층
우리 한 번 더 보고 결정하면 어때요? |
|
|
|
|